음 원래, 구글 크롬의 deb패키지를 설치하면, 저장소에 구글 다운로드 서버가 등록되어 간단하게 apt-get 명령으로 구글 크롬 브라우저를 업데이트 할 수 있었다. 그런데 9.10으로 OS를 업그레이드한 뒤로는 이상하게 저장소 등록이 안된다.다 그래서 매번 새 버전이 나왔다는 소문이 들릴 때 마다 구글 크롬 다운로드 페이지를 찾아가서 다운로드 받고, 패키지를 설치하여 엎어쓰는 방식으로 업데이트를 해 왔다. 좀 찝찝한 건 사실이지만. (이런 식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해도 저장된 기록이나 북마크, 테마 등은 보존이 되고 아직까지 별 문제는 없는 것 같다.) 매번 하기가 너무 귀찮아서, 쉘 스크립트로 만들어서 실행해보도록 하자. 1. 구글 크롬 패키지 다운로드 경로 확인 먼저 구글 크롬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는 ..
IIS 서버의 각 로그 라인은 개별 요청에 대한 서버의 응답 내역을 기록하며 W3C 포맷으로 기록된다. 포맷은 다음과 같으며, 통상 로그 파일의 첫 부분에 로그 포맷을 기록한다. Field Appears As Description Date date The date that the activity occurred. Time time The time that the activity occurred. Client IP Address c-ip The IP address of the client that accessed your server. User Name cs-username The name of the authenticated user who accessed your server. This does not..
원격 데스크톱 연결 기능 원격 데스크톱 기능은 윈도XP에서 제공하는 편의 기능 중 가장 강력하고 유용한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의 바탕화면을 보면서 마우스와 키보드를 통한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 조작 등의 작업을 고스란히 할 수 있다. 윈도200X 서버 계열이 아닌 일반 XP 계열에서는 다만 다중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할 수는 없지만 개인 컴퓨터를 원격지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매우 유용하다 하겠다. 그리고 고정된 IP만 있다면 거의 별다른 세팅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큰 매력이다. 아이피 혹은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 이름을 알고 있다면 ip를 통해서 해당 컴퓨터의 드라이브에 접근하는 것도 XP가 제공하는 기본적인 기능 중의 하나인데, 당연히 원격 데스크톱에서도 작업 중인 컴퓨터로..
특정 네트워크 내에 PC가 있고, 원격 데스크톱 접속도 가능하고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하는 경우에도 접근이 가능하지만 ip를 통해 접근하는 경우에 '네트워크 로그온 서비스가 시작되지 못했습니다'라는 메세지와 함께 접근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접근 하고자 하는 컴퓨터에서 NetLogon 서비스가 시작되지 못한 경우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서버 (원격에서 드라이브를 제공할 커뮤터)의 윈도 서비스 중 NetLogon 서비스는 '자동'으로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원격 데스크톱 연결이 가능한 경우라면, 원격 데스크톱 연결 옵션에서 '리소스' 탭에서 드라이브를 사용하도록 체크하면 원격 접속한 컴퓨터의 탐색기에 원격 접속을 시도하는 컴퓨터의 드라이브가 연결되어 보이게 ..
인터넷 등이나 그런데서 다운로드 받은 한글 자막 파일이 토템 플레이어에서는 줄줄이 깨져서 나오더군요. 엄머, 아무래도 자막을 만드시는 분들이 윈도 환경에서 작업을 하시다보니 파일 인코딩이 문제가 된 듯 합니다. 아.. 이럴 때는 어쩌면 좋으려나... 어쩌면 좋긴요. 그냥 스크립트 하나 만들면 되는거지. #-*-coding:utf-8 import glob g = glob.glob('./*.smi') for smi in g: smi2 = sim[:-4]+'_unicode.smi' f1 = open(smi,'r') f2 = open(smi2,'w') for line in f1.readlines(): f2.write(line.decode('euc-kr').encode('utf-8') f1.close() f2.c..
아마, 대부분의 윈도용 어플리케이션들이 '굴림체'에 맞춰져 있기 때문인 듯 하다. 이럴 때는 여러 가지 해결책들이 이미 포럼이나 블로그 등등에 올라와 있긴 한데, (주로 WINE의 한글 글꼴 설정을 바꾼다던가 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굴림체를 WINE의 폴더 안에 복사하는 것. Alt+F2키를 눌러 다음을 입력한다. gksu nautilus 그럼 암호를 한 번 물어본 다음, 파일 관리자(노틸러스)가 실행된다. 윈도우가 설치된 드라이브로 들어가서 폰트 폴더 (WINDOWS/Fonts)로 간다. 여기서 gulim.ttc 파일을 복사하여, 와인이 설치된 폴더 아래 ~/.wine/drive_c/WINDOWS/Fonts에 붙여넣는다. 다 되었으면 WINE에서 메모장을 실행해보면, 메뉴나 이런 곳의 글꼴이 ..
에메랄드가 왠지 지겨워졌다. Alt+F2를 누른후, 다음을 입력한다. gtk-windows-manager --relpace 에메랄드가 사라지고 기본 창 관리자가 표시된다. 다시 메타시티를 사용하려면, 그놈 관리 도우미를 실행한다... 역시 Alt+F2 (조금만 입력하면 자동완성이 지원된다) gconf-editor app > gwd 분류로 찾아 들어간 다음, use_metacity_theme 에 체크해준다. 메타 시티에서 조금 더 나은 퍼포먼스를 보여주기 위해서는 app > metacity > general 분류로 들어간 다음, compositing-manager에도 체크해준다. (사실 뭐가 달라지는지는 잘 모르겠다. 단, 화면효과를 없음으로 한 경우에는 조금 화면의 모양새가 나아지는 듯 하다)
최근 몇 개의 컴퓨터에 우분투 9.04를 다양하게 설치해보고, 나중에 까먹지 말자고 생각하며 몇 가지를 정리함. 스크린 샷 등으로 친절하게 설명하려고도 생각은 했으나, 너무 귀찮고 시간이 없어서 패스. 나중에 기회가 되면 wireframe.tistory.com등에 다시 설치 절차를 올려볼 생각임 설치 CD 구하기 우분투 설치 시디 - 우분투 홈페이지에서 iso 파일을 내려받을 수 있음. 한국 서버로는 다음에서 운영하는 ftp 서버가 있는데, 이 서버가 속도가 제법 나오는 편임. iso 파일을 필히 cd에 구워둔다. 설치하는 경우 준비해야하는 것들 1. 완전히 새로 설치 - 기존에 사용하던 OS를 밀어버리고 완전히 새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별다른 준비는 필요 없다. 중요한 데이터가 있으면 알아서 미리 ..
- Total
- Today
- Yesterday
- 반복자
- 이중리스트를 사용하지 않기
- 파이썬노트북
- 표준입력
- python list
- 튜플언패킹
- 단어 빈도수
- Python
- 정렬기준
- 리스트
- 정렬키
- 함수형
- iterable
- 변경가능
- locals()
- ipython-notebook
- dict
- mutability
- 우분투
- Lambda
- 복수기준정렬
- sorted
- short_circuit
- globals()
- jupyter-notebook
- 사전
- 파이썬
- leapYear
- 리눅스
- 파일입출력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